여행이 남기는 흔적을 바꾸는 일: 지속 가능 여행자가 꼭 지켜야 할 10가지 행동 규칙
여행을 다녀오고 나면 사진과 추억만 남을 것 같지만, 사실 우리 대부분은 ‘보이지 않는 흔적’을 남긴다. 해변의 플라스틱 컵, 캠핑장의 포장 쓰레기, 산책길에 버려진 물티슈 — 이 모든 것이 우리가 지나간 자리의 흔적이다. 여행은 순간의 자유를 주지만, 그 자유의 뒤에는 언제나 책임이 따라야 한다. 우리가 남긴 쓰레기는 결국 지구가 떠안는다. 하지만 다행히, 최근 몇 년 사이 ‘쓰레기 되가져오기’를 실천하는 여행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그들은 여행지에서 자신이 만든 쓰레기를 전부 수거해 돌아오거나, 심지어 다른 사람의 쓰레기까지 함께 수거한다. 그들의 행동은 조용하지만, 그 여운은 크다. 이 글에서는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이 새로운 여행 문화의 의미와 실천 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1. 한라산 트래커들의 ‘클린백 루틴’ : 제주의 한라산을 오르는 트래커 그룹 ‘클린 루트’는 매주 등반할 때마다 쓰레기 봉투를 챙긴다. 자신의 쓰레기뿐 아니라 등산 중 발견한 플라스틱 조각, 캔, 담배꽁초 등을 함께 수거한다. 그들은 “등산은 풍경을 얻는 행위가 아니라, 자연과의 약속을 지키는 행위”라고 말한다. 매번 하산 후, 모아둔 쓰레기를 분류해 SNS에 기록을 남긴다. ‘이번 주 한라산의 흔적: 비닐봉지 6개, 플라스틱 병 3개’ 그 짧은 문장은 보는 사람들에게 무언의 경고이자 자극이 된다.
2. 호주 워킹홀리데이 커플의 ‘제로웨이스트 캠핑’ : 호주 동부 해안에서 워킹홀리데이를 하던 한국인 커플 A씨와 B씨는 2개월간의 캠핑 여행 동안 자신들이 배출한 쓰레기를 모두 되가져왔다. 그들은 매 끼니마다 재사용 용기와 수저를 사용했고, 음식물 쓰레기는 소형 퇴비통에 모았다. 심지어 플라스틱 포장을 줄이기 위해 현지 재래시장에서 식자재를 ‘벌크(벌크 판매)’로 구입했다. 결과적으로 두 달간 발생한 일반 쓰레기는 단 800g, 한 손에 쥘 만큼의 양이었다. 그들의 블로그에는 이렇게 적혀 있었다. “우리는 떠났지만, 우리가 머문 흔적은 남지 않았다.” 이 문장은 수천 명의 팔로워에게 ‘환경을 생각하는 여행의 감동’을 남겼다.
3. 일본 가고시마 ‘비치 트래시 프로젝트’ : 가고시마의 한
작은 마을에서는 지역 주민과 여행자들이 함께 해변 정화 캠페인을 진행한다.
이곳의 원칙은 단순하다 —
‘자신이 가져온 것은 반드시 되가져가기’.
매달 셋째 주 토요일, 마을 해변에서는 현지 초등학생부터 외국인 관광객까지 모여
함께 쓰레기를 줍는다. 놀라운 점은, 이 활동이 ‘의무’가 아니라 ‘축제’처럼
진행된다는 것이다. 사람들은 음악을 틀고, 웃으며 바다를 걷는다. 그들이 쓰레기를
주우며 느끼는 것은 무거움이 아니라, 함께 지키는 기쁨이다.
4. 서울 여행자 ‘포장 거절 챌린지’ : 서울을 여행하던 20대 여행자 김모 씨는 ‘포장 거절 챌린지’를 실천했다. 길거리 음식, 편의점 도시락, 카페 음료를 구매할 때마다 일회용 포장을 거절하고, 자신의 텀블러와 도시락통을 이용했다. 그는 여행 중 발생할 수밖에 없는 ‘소비의 순간’을 완전히 없애기보다 그 순간을 환경을 생각하는 선택의 시간으로 바꿨다. SNS에 ‘오늘 하루 포장 거절 5회 성공!’이라는 문구와 함께 사진을 올리며 챌린지를 이어갔다. 이런 작은 움직임들이 모여 지속 가능한 도시 여행의 새로운 트렌드를 만들고 있다.
① ‘클린백’을 항상 휴대하라. : 얇은 천 가방이나 재사용 비닐을 항상 가방 안에 넣어두면 예상치 못한 쓰레기 상황에서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② 음식 포장 대신 현지 식당 이용하기. : 포장은 편리하지만, 쓰레기의 주요 원인이다. 그 지역의 식당에서 식사하면 지역 경제도 돕고 쓰레기도 줄일 수 있다. ③ 여행 중 분리수거 장소 미리 파악하기. : 특히 해외에서는 쓰레기 분리 정책이 다르기 때문에 출발 전 미리 확인해두면 혼란을 줄일 수 있다. ④ 쓰레기를 ‘사진으로 기록’하라. : 되가져온 쓰레기를 사진으로 남기면 자신의 행동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는 지속적인 실천으로 이어지는 강력한 동기 부여가 된다. ⑤ 함께하는 사람을 늘려라. : 혼자보다 둘, 둘보다 여럿일 때 ‘청결의 문화’는 더 빠르게 확산된다. 함께 하는 여행자들이 늘어날수록, 그 지역은 더 깨끗해진다.
과거에는 여행이 ‘얼마나 많은 곳을 갔는가’로 평가받았다면, 이제는 ‘얼마나 적게 남겼는가’로 평가받는다. 자연을 지키는 여행자는 스스로 자랑스럽다. 그들은 “조용히 행동하는 것이 가장 강한 메시지”라고 말한다. 한 여행자는 이렇게 말했다. “내가 버리지 않은 쓰레기 하나가, 다른 누군가의 기억을 깨끗하게 만든다.” 그 말처럼, 여행의 진정한 흔적은 사진이 아니라 깨끗하게 남은 풍경이다.
여행이 끝난 자리에서 아무것도 남지 않았다면, 그것이야말로 가장 완벽한 여행이다. 쓰레기 되가져오기는 단순한 환경 운동이 아니다. 그것은 자연에 대한 존중, 그리고 나 자신에 대한 책임의 표현이다. 우리가 떠나온 자리의 깨끗함이 다음 사람의 여행을 더 아름답게 만든다. 지구는 우리의 쓰레기를 기억한다. 오늘 당신이 버리지 않은 그 하나의 플라스틱이, 내일 누군가의 푸른 바다를 지켜줄 것이다. 남기지 않는 여행, 그것이 진짜 지속 가능한 여행의 시작이다.